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2021년 KBO 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2021년 KBO 리그는 신세계그룹의 SK 와이번스 인수로 SSG 랜더스가 창단되었고, 감독 교체, 선수단 변화, 경기 규칙 변경 등 여러 변화가 있었다. 정규 시즌은 4월 3일부터 10월 8일까지 진행되었으며, KT 위즈가 창단 첫 정규 시즌 우승을 차지했다. 포스트시즌에서는 KT 위즈가 한국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꺾고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1년 야구 - 톰 글래빈
    톰 글래빈은 메이저리그에서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소속으로 활동하며 뛰어난 투구와 타격 능력으로 다승왕, 실버 슬러거 상 등을 수상하고 월드 시리즈 MVP를 수상, 300승을 달성한 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좌완 투수이다.
  • 2021년 야구 - 데이비드 저스티스
    데이비드 저스티스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뛰어난 타격 능력으로 활약하며 신인왕, 실버 슬러거 상, 챔피언십 시리즈 MVP 등을 수상하고 두 차례 월드 시리즈 우승을 경험한 야구 선수이자, 은퇴 후 야구 해설가로도 활동했으며,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미첼 보고서에 언급되어 명예의 전당 입성에는 실패했다.
  • 2021년 야구 - 이대은
    이대은은 대한민국 출신의 야구 선수로, 미국, 일본, 한국 프로야구에서 선수 생활을 했으며, 은퇴 후에는 방송 활동과 사업을 시작했다.
  • 2021년 야구 - 장성우
    장성우는 2008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2015년 KT 위즈로 이적 후 주전 포수로 활약하며 사생활 논란과 징계를 겪었지만, 이후 팀에 복귀하여 꾸준히 활약하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하고 FA 계약을 통해 KT 위즈에 잔류하는 등 꾸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KBO 리그 시즌 - 2017년 KBO 리그
    2017년 KBO 리그는 FA 제도 개편, 감독 교체, 비디오 판독 시스템 개선 등 변화 속에서 KIA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으며, 김선빈의 고타율, 최정의 홈런 및 장타율, 러프의 타점, 피어밴드의 평균자책점 등 주요 기록들이 나왔다.
  • KBO 리그 시즌 - 2000년 한국프로야구
    2000년 한국프로야구는 현대 유니콘스가 우승하고 매직리그와 드림리그로 나뉘어 정규시즌이 진행되었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통합 1위를 기록했지만 한국시리즈에서 삼성 라이온즈에게 패해 준우승했다.
2021년 KBO 리그
2021 KBO 리그
리그KBO 리그
스포츠야구
로고
기간4월 3일 – 10월 31일
경기 수팀당 144경기
참가 팀 수10
TV 방송사KBS
MBC
SBS
SPOTV
ESPN
시즌정규 시즌
정규 시즌 우승팀KT 위즈
시즌 MVP아리엘 미란다 (두산)
시즌 MVP 링크KBO 리그 최우수 선수상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와일드카드 결정전
와일드카드 우승팀두산 베어스
와일드카드 준우승팀키움 히어로즈
준플레이오프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우승팀두산 베어스
준플레이오프 준우승팀LG 트윈스
플레이오프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우승팀두산 베어스
플레이오프 준우승팀삼성 라이온즈
한국시리즈한국시리즈
한국시리즈 링크2021년 한국시리즈
한국시리즈 우승팀KT 위즈
한국시리즈 준우승팀두산 베어스
한국시리즈 MVP박경수
한국시리즈 MVP 링크한국시리즈 최우수 선수상
시즌 목록KBO 리그 시즌 목록
시즌 목록 이름KBO 리그
이전 시즌 링크2020년 KBO 리그
이전 시즌2020
다음 시즌 링크2022년 KBO 리그
다음 시즌2022
한국 프로 야구 정보
명칭2021 신한은행 SOL KBO 리그
주관KBO
날짜4월 3일 ~ 10월 30일
참가 팀 수10
정규 시즌 우승팀[[파일:KT Wiz insignia.svg|20px]] kt 위즈
시즌 MVP[[파일:Doosan Bears insignia.svg|20px]] 아리엘 미란다
최우수 신인[[파일:Kia Tigers insignia.svg|20px]] 이의리
와일드카드 결정전두산 베어스 1(+1) - 1 키움
준플레이오프두산 2 - 1 LG
플레이오프 우승팀두산 2 - 0 삼성
한국시리즈kt 4 - 0 두산
한국시리즈 우승팀[[파일:KT Wiz insignia.svg|20px]] kt 위즈
한국시리즈 최우수 선수[[파일:KT Wiz insignia.svg|20px]] 박경수
이전[[파일:Gtk-go-back-ltr.svg|22px]] 2020년
이후[[파일:Gtk-go-forward-ltr.svg|22px]] 2022년

2. 달라지는 점

2021년 KBO 리그는 여러가지 변화가 있었다. 신세계그룹이 SK 와이번스를 인수하여 SSG 랜더스로 구단명이 변경되었다. 이는 KBO 리그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새로운 팬덤 유입을 이끌어낸 긍정적인 변화였다. SK 와이번스염경엽 감독, LG 트윈스류중일 감독, 한화 이글스최원호 감독, 키움 히어로즈김창현 감독이 물러나고, 김원형(SK 와이번스→SSG 랜더스), 유지현(LG 트윈스), 카를로스 수베로(한화 이글스), 홍원기(키움 히어로즈) 감독이 새롭게 선임되었다.

스프링캠프는 2월 1일부터 구단별로 자율적으로 시행되었고, 개막 경기 하루 전 제출하는 개막전 엔트리 마감 시간은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 17시에서 15시로 앞당겨졌다. 비디오 판독 대상 플레이가 확대되었고, 부상자 명단 등재 및 등록 관련 규정이 추가되었다. 소속 선수가 은퇴 경기를 치를 경우 홈에서 치르는 공식 1경기에 한해 현역 선수 정원이 초과하더라도 추가 등록이 가능하게 되었다.

정규 시즌 중 경기가 예정되어 있지 않은 날의 현역 선수 등록 및 말소 마감 시간이 조정되었고, 감독∙코치 외에 포수가 마운드 방문 시에도 선수 간 작전 회의가 허용되었다. 신인 선수들을 비롯한 최저 연봉이 인상되었다. 7월 19일부터 8월 9일까지 도쿄 올림픽으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었다. 심판 판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비디오 판독 기회가 추가로 부여되는 규정이 신설되었다.

코로나19 상황과 국제 대회 일정을 고려해 정규 시즌 경기 취소 시 더블 헤더 및 특별 서스펜디드, 월요일 경기를 편성하는 규정이 적용되었다. 외국인 코칭 스태프 증가에 따라 더그아웃 출입 통역 인원 규정이 변경되었고, 코치 엔트리 등록 인원이 변경되었다. 4월 3일4월 4일에 열리는 정규 시즌 개막 2연전 경기 개시 시간이 변경되었다.

WBSC 공식 야구 규칙의 변경 내용을 KBO 공식 야구 규칙에 반영하여 투구, 타구, 주루, 수비, 제소 경기, 선수 복장 등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가 있었다. 스피드업 규정이 강화되어 타자의 타석 입장 시간, 투수 교체 시간, 감독 및 코치의 마운드 방문 시간, 어필 퇴장 시간 등이 단축되었다.

KBO는 경기 중 구장 내 모든 구역에서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벤치클리어링 금지, 선수단 거리두기 지침 강화 등 코로나19 방역 수칙을 강화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대응 매뉴얼을 정교화하고, 방역 수칙 미준수 관중에게는 삼진 아웃제를 적용했다. 후반기에는 한시적으로 연장전을 폐지하고,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를 2선승제로 변경했다. 8월 25일부터 경기 취소 시 다음 날 더블 헤더 편성 또는 동일 대진 둘째 날 편성하는 규정이 시행되었다. 후반기에 코로나19 관련 경기 취소 시 우천 취소 경기 시행 세칙과 동일하게 적용하는 규정이 시행되었다. 11월 15일 이후 경기가 편성되는 포스트시즌 경기는 모두 고척스카이돔에서 치르기로 했다.

인성 교육 강화를 위해 새로운 가이드 북을 제작하여 배포하고,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품위 손상 행위 근절 교육을 진행했다.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지침 위반 시 제재 수위를 정하고, 구단의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했다. 물의를 일으킨 은퇴 선수에 대한 제재 방안을 검토하고, 신인 드래프트 관련 규정을 신설하여 학교 폭력 가해 선수에 대한 제재를 강화했다.

3. 구단별 캐치프레이즈(슬로건)

4. 선수 이동

4. 1. 시즌 전

2021년 KBO 리그 시즌 전에는 FA 영입, 방출, 트레이드, 은퇴, 해외 진출 등으로 선수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5][6][7][8][9][10][11][14][15][16][17][18][19]

FA 시장에서는 두산 베어스최주환SK 와이번스로,[11] 오재일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했다.[11] 키움 히어로즈김상수는 사인 앤 트레이드 방식으로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13] FA 영입에 따른 보상 선수로는 최주환의 보상 선수로 강승호가, 오재일의 보상 선수로 박계범두산 베어스로 이적했다.

두산 베어스에서는 최주환, 오재일 외에도 많은 선수들이 팀을 떠났는데, SK 와이번스로 이적한 최주환의 보상 선수로 강승호가, 삼성 라이온즈로 이적한 오재일의 보상 선수로 박계범이 이적했다.

트레이드 시장에서는 LG 트윈스NC 다이노스 간에 이상호윤형준의 1:1 트레이드가 있었고, 롯데 자이언츠와 kt 위즈 간에 최건박시영, 신본기의 2:1 트레이드가 있었다.[12] LG 트윈스두산 베어스 간에는 채지선, 함덕주남호, 양석환의 2:2 트레이드가 이루어졌다.

한화 이글스에서 방출된 이용규키움 히어로즈로 이적했고, 같은 팀에서 방출된 안영명은 kt 위즈로 이적했다.

해외 리그에서 활동하던 추신수SSG 랜더스와 계약하며 국내로 복귀했다.

kt 위즈의 멜 로하스 주니어한신 타이거스로, 두산 베어스크리스 플렉센시애틀 매리너스로 이적하는 등 해외 진출 선수도 있었다. 키움 히어로즈김하성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 계약했다. KIA 타이거즈양현종텍사스 레인저스와 스플릿 계약을 맺었다.[18]

각 구단은 새로운 외국인 선수들을 영입하고, 기존 외국인 선수들과 재계약을 맺었다.

4. 2. 시즌 중

2021년 KBO 리그 시즌 중에는 선수 이동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FA 자격을 얻은 이용찬두산 베어스에서 NC 다이노스로 이적했고(총액 3+1년 27억), 이에 대한 보상 선수로 박정수NC 다이노스에서 두산 베어스로 이적했다. kt 위즈에서 방출된 한두솔SSG 랜더스에 합류했다.

트레이드도 활발했는데, SSG 랜더스정진기, 정현NC 다이노스김찬형이 2:1 트레이드되었다. 한화 이글스오선진삼성 라이온즈이성곤이 1:1 트레이드되었고, 한화 이글스강경학KIA 타이거즈백용환도 1:1 트레이드되었다. NC 다이노스의 강윤구는 2022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2차 4라운드 지명권을 대가로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했다. 키움 히어로즈서건창LG 트윈스정찬헌이 1:1 트레이드되었고, 롯데 자이언츠김준태, 오윤석과 kt 위즈의 이강준이 2:1 트레이드되었다.

모창민(NC 다이노스), 민병헌, 송승준(이상 롯데 자이언츠), 나주환(KIA 타이거즈), 오주원(키움 히어로즈), 제이미 로맥, 정상호(이상 SSG 랜더스) 등 많은 선수들이 은퇴를 선언했다.

외국인 선수들의 이동도 있었다. 키움 히어로즈조시 스미스, 데이비드 프레이타스, 제이크 브리검을 방출하고 제이크 브리검, 윌 크레익을 영입했다. 삼성 라이온즈벤 라이블리를 방출하고 마이크 몽고메리를, SSG 랜더스아티 르위키를 방출하고 샘 가빌리오를, kt 위즈는 조일로 알몬테를 방출하고 제러드 호잉을, LG 트윈스로베르토 라모스를 방출하고 저스틴 보어를, 한화 이글스라이언 힐리를 방출하고 에르난 페레즈를, KIA 타이거즈애런 브룩스를 방출하고 보 다카하시를 영입했다.

5. 시범 경기

2021년 KBO 리그 시범 경기는 3월 20일부터 3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최종 순위는 한화 이글스가 1위, kt 위즈가 2위, 롯데 자이언츠가 3위를 기록했다. 키움 히어로즈와 삼성 라이온즈는 공동 4위, LG 트윈스와 KIA 타이거즈는 공동 6위를 차지했다. 두산 베어스는 8위, NC 다이노스는 9위, SSG 랜더스는 10위를 기록했다.

순위구단경기승률연속게임차
1한화 이글스76010.8573승0.0
2kt 위즈75110.8332승0.5
3롯데 자이언츠74120.6672패1.5
4키움 히어로즈72320.5001패2.5
삼성 라이온즈72320.5002패2.5
6LG 트윈스83140.4291패3.0
KIA 타이거즈73040.4292패3.0
8두산 베어스62040.3332승3.5
9NC 다이노스71240.2004패4.0
10SSG 랜더스71150.1671승4.5


6. 정규 리그

2021년 KBO 리그의 정규 리그는 4월 3일부터 10월 8일까지 진행되었고, 잔여 경기는 10월 9일부터 10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25] 개막 경기는 2019년도 순위를 기준으로 잠실(KIA:두산), 고척(삼성:키움), 문학(롯데:SSG), 창원(LG:NC), 수원(한화:kt) 5개 구장에서 2연전으로 펼쳐졌다.[25]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6팀(KT 위즈, 삼성 라이온즈,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SSG 랜더스, 키움 히어로즈)의 순위가 최종전까지 결정되지 않았다. 최종전 결과, kt 위즈와 삼성 라이온즈가 모두 승리하여 승률이 같아졌으나, 타이브레이커 경기로 우승팀을 가리게 되었다. LG 트윈스는 최종전에서 패배하며 3위로 리그를 마감했다. 키움 히어로즈는 최종전에서 대승을 거두고 SSG 랜더스가 패배하면서 와일드카드 진출에 성공했다. 두산 베어스는 최종전 승리로 4위를 확정지었다.

10월 30일 최종전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원정 팀득점홈 팀장소승리
2021년 10월 30일KT 위즈8:3SSG 랜더스인천SSG랜더스필드20px
2021년 10월 30일삼성 라이온즈11:5NC 다이노스창원NC파크
|20px]]
2021년 10월 30일LG 트윈스2:4롯데 자이언츠사직야구장
|20px]]
2021년 10월 30일두산 베어스5:3한화 이글스대전한화생명이글스파크20px
2021년 10월 30일키움 히어로즈6:1KIA 타이거즈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20px]]
2021년 10월 31일KT 위즈
타이브레이커
1:0삼성 라이온즈
타이브레이커
대구시민야구장20px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정규 시즌 순위[4]
순위경기수승률게임 차포스트시즌
공동 1위**KT 위즈14476599.563한국시리즈
공동 1위*삼성 라이온즈14476599.563플레이오프
3위LG 트윈스144725814.554준플레이오프
4위두산 베어스14471658.522와일드카드 결정전
5위키움 히어로즈14470677.5117
6위SSG 랜더스144666414.508진출 실패
7위NC 다이노스14467689.4969
8위롯데 자이언츠14465718.47811½
9위KIA 타이거즈144587610.43317½
10위한화 이글스144498312.37125½



''*상대 전적에서 KT 위즈를 상대로 9승 6패 1무를 기록한 삼성 라이온즈가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개최함.''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KT 위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1-0으로 승리함''

6. 1. 팀 순위

kt 위즈와 삼성 라이온즈는 승률이 같아 10월 31일1986년 이후 35년만에 타이브레이크 경기를 치렀다. 경기에서 kt 위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승리해 2013년 창단 이후 8년만에 정규 시즌에서 우승했다. 두산 베어스는 정규 시즌 4위였으나 와일드카드,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를 승리하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고, 준우승을 해서 최종 2위가 됐다.

정규 시즌 순위
순위경기수승률게임 차포스트시즌
공동 1위**KT 위즈14476599.563한국시리즈
공동 1위*삼성 라이온즈14476599.563플레이오프
3위LG 트윈스144725814.554준플레이오프
4위두산 베어스14471658.522와일드카드 결정전
5위키움 히어로즈14470677.5117
6위SSG 랜더스144666414.508진출 실패
7위NC 다이노스14467689.4969
8위롯데 자이언츠14465718.47811½
9위KIA 타이거즈144587610.43317½
10위한화 이글스144498312.37125½



''*상대 전적에서 KT 위즈를 상대로 9승 6패 1무를 기록한 삼성 라이온즈가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개최함.''

''타이브레이커 경기에서 KT 위즈가 삼성 라이온즈를 1-0으로 승리함''

6. 2. 통계




7. 포스트시즌

2021년 KBO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결정전, 준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 한국시리즈 순서로 진행되었다. 4위 팀에게 1승의 어드밴티지를 주는 방식으로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두산 베어스는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 키움 히어로즈를 2-1로, 준플레이오프에서 LG 트윈스를 2-1로, 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를 2-0으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KT 위즈는 한국시리즈에서 두산 베어스를 4승 0패로 꺾고 창단 첫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8. 올스타전

2021년 KBO 올스타전은 7월 24일에 고척스카이돔에서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됐다.

참조

[1] 웹사이트 With 1st place at stake, Lions and Wiz to clash in KBO tiebreaker game https://en.yna.co.kr[...] 2021-10-30
[2] 웹사이트 Dinos fail to reach playoffs, lose chance to defend KBO title https://koreajoongan[...] 2021-10-30
[3] 웹사이트 Presenting a 2021 KBO Preview https://blogs.fangra[...] 2021-07-01
[4] 웹사이트 Team Standings https://mykbostats.c[...] 2021-10-27
[5] 문서 1차 지명이었던 김유성은 학교 폭력 논란으로 인해 구단에서 지명을 철회했다.
[6] 문서 FA 승인 신청을 하지 않고 자격 유지
[7] 문서 FA 승인 신청을 하지 않고 자격 유지
[8] 문서 FA 승인 신청을 하지 않고 자격 유지
[9] 문서 FA 승인 신청을 하지 않고 자격 유지
[10] 문서 FA 승인 신청을 하지 않고 자격 유지
[11] 문서 계약은 키움 히어로즈와 했으나 사인 앤 트레이드 방식이어서 사실상 이적한 것이나 다름없다.
[12] 문서 2022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2차 3라운드 지명권 포함
[13] 문서 현금 3억 및 2022년 KBO 리그 신인 드래프트 2차 4라운드 지명권 포함
[14] 문서 정확한 금액은 아님
[15] 문서 스프링캠프 초청권을 포함한 마이너 계약을 했다.
[16] 문서 정확한 금액은 아님
[17] 문서 스프링캠프 초청권을 포함한 마이너 계약을 했다.
[18] 문서 스프링캠프 초청권을 포함한 마이너 계약을 했다.
[19] 문서 마이너 계약을 했다.
[20] 문서 2차 3라운드 지명권은 롯데 자이언츠에게 양도
[21] 문서 2차 4라운드 지명권을 SSG 랜더스에게 양도받음
[22] 문서 2차 4라운드 지명권은 키움 히어로즈에게 양도
[23] 문서 2차 4라운드 지명권을 롯데 자이언츠로부터 양도받음
[24] 문서 2차 3라운드 지명권을 kt 위즈로부터 양도받고, 2차 4라운드 지명권은 NC 다이노스에게 양도
[25] 문서 kt 위즈는 2019년 시즌에 6위를 했으나 구장을 같이 쓰는 LG와 두산이 포스트시즌에 동반 진출했고 두산이 더 높은 순위를 기록해 개막전을 먼저 치를 수 있는 권한이 주어져 kt가 개막전을 치르게 됐다.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